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매몰자 7명 전원 사망…산업안전의 경고

by mynote7230 2025. 11. 15.
반응형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2025년 11월 15일,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의 마지막 실종자가 시신으로 수습되면서,
매몰된 작업자 7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번 사고는 산업안전의 허점을 다시 한 번 드러내며,
전국적인 충격과 함께 노후 산업시설의 안전관리 부실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개요

지난 11월 6일 오후 2시 2분, 울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울산화력발전소 5호기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했습니다.
당시 현장에서는 44년 된 노후 보일러타워 해체 작업이 진행 중이었습니다.
이 작업은 ‘취약화 작업(weakening process)’이라 불리며,
철골 구조물의 일부를 절단해 무너뜨리기 쉽게 만드는 과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빠른 구조물 붕괴로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되었습니다.
그중 2명만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했으며,
나머지 7명은 잔해 속에 갇혀 구조 작업이 장기화되었습니다.


작업자 전원사망 마지막 구조상황

구조 상황과 마지막 수습

사고 발생 직후 울산소방본부는 즉시 구조 인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수색을 시작했습니다.
그로부터 200시간이 흐른 11월 14일 밤,
마지막 실종자인 김모(62)씨가 시신으로 발견되며 수색은 마무리되었습니다.
구조대는 철 구조물을 잘라내며 진입을 시도했고,
밤 10시 4분경 사망 판정을 내렸습니다.

소방청은 매몰자 전원이 수습됨에 따라,
사고 당일 발령했던 국가소방동원령을 14일 밤 해제했습니다.
사망자 연령대는 3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했으며,
그들은 모두 현장에서 성실히 일하던 숙련된 기술자들이었습니다.


사고의 원인 — ‘노후 시설’과 ‘안전 불감증’의 합작

이번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는 단순한 현장 부주의가 아닌,
노후된 설비와 미흡한 안전관리 체계가 빚은 참사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해체 작업은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하고,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았으며,
하청업체 코리아카코(발파 전문 업체)가 실제 작업을 시행했습니다.

특히 구조물의 기둥과 철골을 사전에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전 점검 및 하중 계산이 부정확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취약화 작업’ 중 불균형이 발생하면 순식간에 전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노후 산업시설 해체는 새 건설보다 더 위험도가 높다”며,
“사전 구조 안전 진단 및 단계별 모니터링이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현장은 여전히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 우선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복되는 산업재해 차단과 희생자 추모

반복되는 산업재해, 왜 끊이지 않나?

이번 울산화력발전소 사고는 2024년과 2025년에 연달아 발생한
대형 산업재해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2024년에도 서울, 포항, 여수 등에서 노후 산업시설 붕괴 및 화재 사고가 이어졌고,
그때마다 “다시는 이런 사고가 없어야 한다”는 말이 반복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안전보다는 효율,
예방보다는 사후대응이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이번 울산화력 붕괴 사고
산업현장의 고질적 문제인 ‘하청 구조와 안전 사각지대’가 낳은 인재(人災)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남겨진 과제 — ‘안전’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다

사고로 희생된 7명의 작업자는
누군가의 가족이자, 오랜 시간 산업 현장을 지탱해온 현장의 주인공들이었습니다.
그들의 죽음은 결코 숫자가 아닌,
우리 사회가 반드시 되새겨야 할 ‘안전의 경고문’입니다.

이제는 “안전관리 강화”라는 추상적인 약속이 아닌,
실질적인 제도 개선과 처벌 강화가 필요합니다.
노후화된 산업시설에 대한 정기 안전 점검 의무를 강화하고,
하청·재하청 구조 속 책임 회피를 막기 위한 법적 시스템의 정비가 절실합니다.


마무리 — 산업안전의 기준을 다시 세워야 할 때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한순간의 부주의가 얼마나 많은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더 이상 “예상치 못한 사고”라는 말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사회 모두가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생명”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희생된 7명의 근로자가 헛되지 않도록,
이번 사건이 대한민국 산업현장의 경각심을 일깨우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