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랜드가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손잡고 새롭게 공개한 케데헌 테마존이 뜨거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이곳에서 판매되는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는 오픈과 동시에 SNS에서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는데요. 하지만 가격이 3만 8천 원에 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말 그 정도 값을 할까?”라는 논란도 함께 불거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테마파크를 방문할 때 기대하는 것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경험과 스토리텔링이 담긴 특별한 콘텐츠입니다. 에버랜드는 이를 잘 알고 있었기에 이번 협업을 통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세계관을 음식으로 확장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가 제공하는 가치는 무엇일까요?
케데헌 테마존, 왜 이렇게 인기일까?
지난 9월 26일 문을 연 에버랜드 케데헌존은 단 5일 만에 1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뜨거운 인기를 모았습니다. ‘헌트릭스’, ‘사자보이즈’ 등 애니메이션 속 아이돌 그룹을 테마로 꾸며진 포토존과 OST, 미션게임 등이 방문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특히 케이팝 팬들에게는 단순한 테마파크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에버랜드는 K-콘텐츠와 테마파크 문화를 접목해 새로운 형태의 즐길 거리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바로 이번에 화제가 된 케데헌 분식 세트가 있습니다.
3만 8천 원짜리 헌트릭스 세트 vs 3만 6천 원짜리 사자보이즈 세트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킨 것은 바로 음식 가격입니다. 헌트릭스 세트(3만 8천 원)는 떡볶이, 순대, 닭강정, 김밥, 농심 한정판 신라면 컵라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면 사자보이즈 세트(3만 6천 원)는 스리라차 마요 떡볶이, 어묵, 닭강정, 주먹밥으로 조금 더 퓨전 느낌을 담았습니다.
구성만 본다면 일반 분식집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SNS에서는 “가격이 너무 비싸다”, “IP 사용료가 붙은 것 아니냐”라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트를 구매하면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가 그려진 한정판 포스터가 증정되며, 팬들에게는 특별한 기념품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한 분식이 아니라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관을 소비하는 경험이라는 점이 이 가격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습니다.
케데헌 세트 가격 논란, 소비자 반응은?
실제 방문객들의 평가는 엇갈립니다. 일부는 “가격에 비해 음식 퀄리티가 아쉽다”라고 말하는 반면, 또 다른 이들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함께하는 특별한 경험이라면 충분히 지불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미국에서 제작된 콘텐츠라 관세가 붙은 거 아니냐”, “케데헌 IP 가격이 만만치 않은 듯”, “가격 잘못 본 줄 알았다”는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이처럼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는 단순히 음식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팬덤 소비의 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K-콘텐츠와 테마파크 협업의 미래
이번 에버랜드 케데헌존의 성공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닙니다.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의 인기 애니메이션과 국내 대표 테마파크가 손을 잡아 새로운 형태의 ‘IP 콜라보’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협업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케이팝, 웹툰, 드라마 등 한국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이를 테마파크 체험과 연결한다면 관광 산업 전반에 큰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가격 논란을 넘어선 경험의 가치
결국,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는 가격만 놓고 보면 확실히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한 끼 식사가 아니라, 좋아하는 캐릭터와 세계관 속에서 경험하는 테마푸드라는 점에서 의미가 달라집니다.
특히 케데헌 팬이라면 3만 원대의 지출을 통해 분식 한 끼 + 추억 + 한정판 굿즈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셈입니다. 따라서 소비자마다 평가가 다를 수밖에 없지만, “경험에 얼마를 지불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사례가 되었습니다.
'요즘...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서진 이서진X김광규, SBS 새 예능의 매력 포인트 (0) | 2025.10.02 |
---|---|
베어브릭 첫 한국 전시|BWWT 3 in Seoul 더 현대 서울에서 개막 (0) | 2025.10.01 |
방시혁 출국금지, 1900억 원 의혹으로 흔들리는 하이브와 K-POP 산업 (0) | 2025.10.01 |
김건모 25-26 라이브 콘서트 예매 방법 & 일정 총정리 (0) | 2025.10.01 |
디즈니+ 드라마 <탁류>, 고전 문학의 부활과 현대적 재해석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