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1월, 대한민국 원전 역사에 다시 한 번 의미 있는 장면이 추가되었습니다.
바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고리2호기 계속운전 승인을 공식적으로 통과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재가동 허가”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향후 국가 에너지 정책과 탄소중립 로드맵의 중심 축으로 자리 잡을 사건입니다.
고리2호기, 3년 만에 재가동을 향한 첫걸음
고리2호기는 1983년부터 가동된 국내 두 번째 상업운전 원전으로,
지난 2023년 4월 운전허가 만료로 가동이 중단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수원은 단순히 ‘시간 연장’을 요청한 것이 아니라,
2022년부터 안전성평가서를 제출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포함한 심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원자력안전위원회 제224회 회의에서 공식 승인을 획득,
3년 7개월간의 검증 끝에 “충분한 안전성이 확보되었다”는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이 결정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대한민국 원전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산업’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신호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33년까지 운전 가능, 한수원의 미래 전략
이번 승인으로 고리2호기는 2033년 4월 8일까지 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
한수원은 현재 진행 중인 설비 개선 공사를 마무리하고,
2026년 2월 재가동을 목표로 전면적인 안전 설비 강화에 나섰습니다.
전대욱 한수원 사장 직무대행은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원전 계속운전은 AI·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라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핵심 역할을 하며,
2050 탄소중립 실현에도 필수적입니다.”
즉, 이번 고리2호기 승인으로
한수원은 향후 10기의 원전(고리 2·3·4호기, 한빛·한울·월성 등) 에 대한 연장 심사 및 재가동 전략의 본격적인 첫 단추를 꿴 셈입니다.
왜 지금 ‘원전 계속운전’이 중요한가?
탄소중립, AI 전력소모, 에너지 수입 의존도 등은 지금 대한민국이 직면한 복합적 과제입니다.
특히, AI와 데이터센터의 확대로 인한 전력 수요 폭증은
더 이상 “단순한 전력 공급 문제”가 아닌 국가 경쟁력의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왜 ‘원전 계속운전’이 해법이 될까요?
- 탄소배출 0의 안정적 전력원
원전은 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기술입니다. - 전력 단가 안정화
석유, 가스 등 수입 에너지원과 달리, 국내 원전은 전력 단가를 안정화시킵니다. - 기술 자립 및 수출 가능성 확대
한수원은 ‘APR1400’ 등 독자적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원전 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고리2호기의 계속운전 성공은 이 기술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됩니다.

국민 신뢰를 위한 ‘안전성 확보’가 핵심
물론, 원전 재가동과 계속운전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민감한 사안입니다.
한수원은 이를 인식하고,
설비 개선·내진 보강·방사능 감시체계 강화 등 다층적 안전 대책을 추진 중입니다.
규제기관은 약 3년 7개월 동안 서류 심사, 현장 점검,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이번 승인을 내린 만큼, 그 신뢰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결국, 이번 결정은 “국민 안전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체계”로 나아가는
한국 원전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수원의 비전: 에너지 자립과 AI 시대의 전력 안정
다가오는 2030년대는 AI와 데이터산업이 전력 수요를 주도하는 시대입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 AI 기반 예측 정비 시스템,
-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 지능형 원전 운영 체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원전 유지’가 아니라,
첨단 에너지 산업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결론: 고리2호기, 단순한 재가동이 아닌 ‘국가 에너지의 전환점’
이번 고리2호기 계속운전 승인은
단순한 원전 재가동이 아니라,
대한민국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꾸는 상징적 사건입니다.
2050년 탄소중립을 향한 여정에서,
안전성과 기술력, 국민 신뢰를 모두 확보한 원전 운영 모델이
한국형 에너지 정책의 핵심 축으로 자리할 것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6 수능 난이도 분석, 국영수 모두 어려워진 이유와 향후 입시 전략 (0) | 2025.11.14 |
|---|---|
| 마쓰다 세이코 내한공연 일정·장소·세트리스트 총정리|푸른 산호초의 여왕 귀환 (0) | 2025.11.14 |
| 유네스코 종묘 논란, 서울시의 ‘영어라 의미 파악 어려워’ 회신이 남긴 파문 (0) | 2025.11.13 |
| 2026 수능 난이도 총평|작년보다 어려웠다? 상위권 변별력 핵심 분석! (0) | 2025.11.13 |
| 김건희 특검, 웰바이오텍 양남희 회장 전격 체포 (0) | 2025.11.13 |